• HOME
  • 학과소개
  • 예·체능계

예·체능계



미술학과(회화.조소.산업미술)

‘예술을 통한 인간교육’이라는 대 전제로 한국의 고유한 역사와 전통을 체득하는 동시에 현시대를 새로운 관점과 양식으로 표현하고 나아가 한국예술의 국제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질을 지닌 전문작가의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TOP



교수소개

성 명 직 위 학 위 전 공 연구분야
강구철 교수 예술학석사(중국문화대학교) 한국화 한국화 실기
김병진 조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시각디자인 시각디자인
김성용 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조소 조소
김종필 부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조소 조소
박경범 부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서양화 서양화 실기
박동교 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목칠디자인 목칠디자인
박신영 교수 미술학석사(홍익대학교) 가구디자인 가구디자인
배성희 조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전공실기 시각디자인(평면조형)
변상형 교수 미학박사(원광대학교) 미학 미학
사희민 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시각디자인 시각디자인
서재흥 부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서양미술 서양미술
신영진 교수 미술학석사(세종대학교) 서양화 서양화 실기
유경아 조교수 미술학석사(홍익대학교) 섬유디자인 섬유디자인
이계길 교수 미술학석사(홍익대학교) 한국화 한국화
이병훈 교수 미술학석사(홍익대학교) 제품디자인 제품디자인
이상욱 조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한국화 한국화 실기
이윤주 조교수 미술학석사(홍익대학교) 전공실기 산업디자인(입체도형)
이재황 조교수 미술학석사(경기대학교) 도자공예 도자공예
이종우 조교수 미술학석사(한남대학교) 서양화 서양화 실기
이주형 부교수 미술학박사(서울대학교) 서양화 서양화 실기
정경철 교수 미술학박사(단국대학교) 한국화 한국화
진혜윤 조교수 미술사학박사(뉴욕주립대) 미술이론 미술이론
하은경 부교수 미술학박사(홍익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황경찬 조교수 미술학박사(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제품디자인연구

TOP



교과목소개

미술학과 (회화전공)

회화 전공
DR601 특수선묘연구(한국화) (Intensitive Oriental Line Drawing) 4학점
한국화의 특색인 감필법과 간색미를 이해시키고, 미적 표현의 출발이 자연임을 상기시키어 자연이 갖고 있는 질서와 구조적인 면을 관철시키어 이를 직접 실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회화의 본질 추구의 근원인 六法思想에 있음을 주지시키어 실제 형상을 미적 감각에 의해 표출하는 힘을 기른다. 또한 표현대상을 구조형태로 파악하여 전체와 부분의 관계 및 화면 위의 필요한 소재의 선택, 구도 표현효과, 색채경험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합리적으로 분석 규명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케 하며 현장 작업을 통하여 개체적 묘사와 원근법 등 기존의 준법을 탈피하고 현대적 차원에서 재수용하여 독창적이고 합리적인 조형이념을 확립한다.
DR602 특수조형기법(한국화) (Western Painting Studio) 4학점
현대 미술의 다양성, 특수성, 보편성 고찰 및 가시적 대상과 추상적 대상을 각자의 사고와 개성에 따라 폭넓고 깊이 있게 실험하여 개성적이며 현대적인 표현을 추구한다. 즉 대상을 주관적 해석과 의도적인 변형에 따라 자유롭게 시각화하며 다양한 표현 방법과 재료 등을 창조적 가능성의 개발에 주안점을 둔다.
DR603 특수수묵조형(한국화) (Intensitive Korean Ink Painting) 4학점
한국 현대미술이 지니고 있는 양식적 특색이 무엇이며, 그것이 현재 어떻게 변모되어 가는지를 파악하고, 현대 미술의 다양성, 특수성, 보편성 등 자유롭게 표현한다.
DR604 특수형상기법(서양화) (Intensitive Formative Arts) 4학점
유화 및 이에 따르는 여러 가지 재료의 특성 파악 및 표현의 여러 가지 기법 등을 깊이 있게 실험하고 독창적으로 표현한다. 자연이 가지고 있는 질서와 구조적인 면을 자세히 관찰하여 재현의 제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한 형식의 추구와 통일과 질서, 조화와 비례, Image의 종합, 분석 등 공간 개념의 재 이해를 하도록 한다.
DR605 특수조형기법(서양화) (Intensitive Korean Drawing Studio) 4학점
한국화의 화론과 화법을 이해시키고 자연이 갖고 있는 구조적인 면과 질서를 관찰시켜 표현하게 하며 자연의 일부인 육체를 통하여 미의 본질을 추구하고, 인체를 바탕으로 다양한 표현 기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그 특징이나 구조감각을 익힘으로써 현대적 시각에서 자연물과 인공물, 인체를 대상으로 주제와 소재의 발상과 이미지 관계를 추구하고 민화, 풍속화, 영정 등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재료에 따른 변화, 채색, 선의 사용법 등을 연구 고찰한다.
DR606 특수신조형기법(서양화) (Intensitive Western Painting Studio) 4학점
회화의 표현 양식을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회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개성적 표현양식을 추구한다. 개인 작품진행에 따른 분석, 개별 작품 제작시 문제점 제시, 개인 Esquisse발표 및 토론을 통하여 작업방향을 설정하여 다른 작업방향을 모색한다.
DR607 동양화연습Ⅰ (Seminar In Oriental PaintingⅠ) 3학점
한국화의 이론과 각종 기법을 종합 응용하여 현대적 회화를 추구함에 있다. 주요 내용으로 현대 미술의 다양성, 특수성, 보편성을 가시적 대상과 추상적 대상을 각자의 사고와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제작하며 주제를 선정하여 각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보편적이고 독창적인 조형성을 확립하도록 한다.
DR608 동양화연습Ⅱ (Seminar in Oriental PaintingⅡ) 3학점
여러 가지 표현 양식과 기법 및 조형론의 문제를 실기와 이론을 병행하여 토의, 분석한다.
DR609 동양화연습Ⅲ (Seminar in Oriental PaintingⅢ) 3학점
진취적이고 독창적인 실험을 통하여 구축된 조형 논리를 체계화하여 실기와 이론을 일원화한다.
DR610 서양화연습Ⅰ (Seminar in Western PaintingⅠ) 3학점
사실, 표현, 추상, 비현실적 또는 환상, 포스트모더니즘 등 서양 미술의 전개를 특징짓는 양식의 특성 및 연관성과 현대 미술에 나타난 시대적, 사회적, 정신적 기능에 경험 내용을 토대로 독자적인 조형관을 확립하도록 한다. 경향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고 개인 Esquisse 발표 및 토론을 통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DR611 서양화연습Ⅱ (Seminar in Western PaintingⅡ) 3학점
표현의 여러 가지 기법을 폭넓고 깊이 있게 추구하여 회화의 본질을 분석하여 실기와 이론을 일원화한다.
DR612 서양화연습Ⅲ (Seminar In Western PaintingⅢ) 3학점
서양화의 표현 양식을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회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개성적 표현 양식을 추구한다.
DR613 한국미술사 (History of Korean Fine Arts) 3학점
한국 미술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개관하여, 한국 미술이 지니고 있는 양식적 특색이 무엇이며, 그것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모되었으며, 또 변화를 가능케 한 원인들을 찾아보고, 역사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각 시대의 성격과 사상, 작가의 표현 방법과 내용,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 미술의 전개 과정을 이해함에 있다.
DR614 동양미술사 (History of Oriental Arts) 3학점
동양 미술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개관하여 인간 미술의 특성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지리적․역사적으로 우리와 관계를 지닌 중국, 인도 등의 아시아 미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각국이 나름대로의 특수성을 지니고 고유한 미술을 형성시켜 왔음은 물론이지만 대체적으로 중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중국 미술과 인도 미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그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여 각 미술 문화 발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DR615 서양미술사 (History of Western Fine Arts) 3학점
서양 미술의 이론과 실재를 문헌과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미술작품을 조사하고, 그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는 학문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등의 작품의 역사와 작가의 전기, 기법과 표현내용의 연구 등도 포함된다. 기술적으로 개선된 일러스트레이션의 확대와 함께, 서구 이외의 국가 및 원시 미술에 대한 미적 재발견은 미술에 대한 정보와 이해를 새로이 요구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DR616 미학 (Aesthetics) 3학점
미학의 성립 과정과 의의를 연구하고 미술 작품에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를 연구한다. 미와 예술의 규범학으로서 현상의 미와 예술에 대한 본질 규정적 사색, 예술 작품 해석의 방법, 원리 및 미적 판단력과 예술적 세계관의 형성 등을 논의하여 미학의 방법적 기초 개념과 그 체계적 과제를 이해시킨다.
DR617 미술비평연구 (Topics In Art Criticism) 3학점
비평의 방법이나 태도는 독자적인 대상과 방법을 가지고 독특한 평론(에세이)으로서 인정받게 되므로 평자의 세계관, 미술관에 따라 달라짐을 인식시킨다. 특히 현대미술의 비평에서는 근대 미술사의 연구가 비평의 근간이 됨을 이해시킨다.
DR618 인체조형론 (Theories of the Painting of Human Body) 3학점
인체의 조형적 원리와 변화를 연구한다 작품 창조에 있어서 시각상의 원리와 조형, 표현성에 관한 제 문제를 탐구하고, 인체 조형 작품의 구조 분석과 시대적 제 양식을 살펴봄으로써 창조적 조형 예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DR619 예술론 (Theory of the Arts) 3학점
예술의 정의, 예술 작품의 해석과 비평, 예술과 사회 등에 관한 제반이론을 연구한다.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제(諸) 예술론들을 고찰하고 유명한 이론들의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예술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DR620 조형론 (Theory of Plastic Arts) 3학점
창작과 관련된 시각의 형상화에 관한 제 원리의 규명을 목표로 하고 형체의 성립, 형체의 종류, 결합 법칙, 형상화, 조형적 언어의 가능성, 상징, 기호 등 형태요소의 분석, 종합 및 법칙, 원리 구조 등을 살피고 일반미술의 직접적 방법의 확립을 꾀하고 형태의 합리적 사고를 도모한다. 여러 가지 조형론의 입장을 비교 분석하여 조형의 특성과 자율성을 비평적 관점에서 토의 분석한다.
DR621 판화론 (Theory of Printmaking) 3학점
동양과 서양의 인쇄 문화와 관련되어 현대 판화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그 시대적 사조와 관련하여 비평적 측면에서 검토한다. 또한 복재의 특성을 지닌 다원 예술로서 판화의 각종 기법을 인지시키고 이를 토대로 하여 독창적인 조형 능력을 배양한다.
DR622 현대회화론 (Theory of Contemporary Painting) 3학점
19세기 후엽에 일어난 현대 회화의 역사적 배경, 정신적 상황 등을 초현실주의, 추상표현주의, 전후 유럽의 회화, 팝아트, 유럽의 신사실주의, 1960년대의 추상으로 새로운 구성주의 미니멀리즘, 1970년대의 탈 미니멀아트, 다원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순으로 고찰한다. 작가연구를 통하여 비평적 기능을 높이고 현대회화의 방향을 조망하고, 한국 현대 미술의 상황을 파악한다.
DR623 한국회화사 (History of Korean Painting) 3학점
한국 미술의 회화 작품이나 미술 활동을 역사적으로 파악하여 그 작품들을 체계 있게 연구 분석하여 작가의 의도를 밝히고 이해하며, 양식이 작가의 제작 의사의 핵심이라는 것을 주지시키고, 자연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기본적으로 흐르는 하나의 한국적 양식을 발견하여 현대의 눈을 살리고자 함이다. 우리 사회사를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시각에서 정확히 파악하여 가치관과 주체 의식을 길러 자주적인 전통미술 창조라는 새로운 과제를 인식시키어 창조적 가능성의 개발에 도움을 준다. 또한 우리 민족이 대처해야 할 자연환경, 생활 방법 등 모든 것에 대한 유기적인 결합을 탐구하여 우리 회화가 뚜렷한 개성과 특성이 시대를 초월하고 있음을 주지시키며, 과거의 재료, 양식, 기법 등을 오늘의 눈으로 파악하여 현대회화로서의 가능성에 중점을 둔다.
석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 0학점
석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 0학점

미술학과 (조소전공)

조소 전공
CV601 한국조각사Ⅰ (History of Korean SculptureⅠ) 3학점
선사시대의 조각적인 행위, 고분출토 조형물 등 고대 조형물의 조각적 행위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고구려의 조각 중 불상조각의 특징을 현존하는 금동반가사유상 등을 통해 연구하며, 백제의 조각은 특히 국보 84호인 선사 마애불과 금동반가사유상 등 불상조각을 살펴보고,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조각들 중 불상조각, 특히 석굴암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통일신라시대의 조각, 전반적인 면을 연구하여 쇠퇴 해가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조각을 쇠퇴 원인에서 부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대마다 인도, 중국, 일본 등 인접국가의 관계를 연구 한다.
CV602 한국조각사Ⅱ (History of Korean SculptureⅡ) 3학점
조선시대 후기의 선안조각에서 부터 일제시대 서양 조각의 도입기, 해방 후 한국 현대조각의 태동기까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조선후기의 민간신앙에서 제작된 미륵상, 묘비인상등의 서양조각 도입기 이전의 한국 군대 자생조각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김복진, 김경승, 운효중, 김종영, 전진구, 윤승옥 등 근대 한국조각의 태동기 작가들과 소년상, 소녀상, 현명, 가족, 두상, 피리부는 소녀상 등의 작품을 조형의지와 기법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 고찰해보며, 당시대의 미술사적 배경을 전반적으로 연구한다.
CV603 서양조각사Ⅰ (History of Western SculptureⅠ) 3학점
서양조각의 이론과 실제를 문헌과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조각의 그들의 생활에 어떤 의미로 존재하여 왔으며 그들의 생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연구케 한다.
CV604 서양조각사Ⅱ (History of Western SculptureⅡ) 3학점
이집트, 그리스 조각들을 중심으로 인체, 동물조각의 원류를 찾아 상징적 조형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러한 사실성을 그들이 어느 한계 까지 추구하였으며, 조각에 나타난 인체나 동물 조각에 과학적 해부학을 도입한 듯이 정교한 사실작품과 실물과의 차이점을 연구하고 아울러 서양조각의 발달 과정을 연구한다.
CV605 동양조각사Ⅰ (History OrientalⅠ) 3학점
중국의 고대 조각 중 선사시대, 은 시대, 서주시대, 춘추시대, 후한시대까지를 간단히 살펴보고, 진 시대 무덤조각 등 서안의 흙 군단 조각의 테라코타 기법 등의 제작 방법을 연구하며 돈황등 석굴조각에서의 불교 조각 등 석 조각들을 살펴보고, 수ㆍ당 시대의 청동과 조기조각 등을 무헌과 작품을 통해 연구케 하며 특히 조형작품과 연결하여 현대미술의 미학적 고찰을 아울러 연구한다.
CV606 동양조각사Ⅱ (History OrientalⅡ) 3학점
서역의 조각중 동 투르스키탄 조각 (롭지구, 호탄지구, 튬숙지구, 쿠차, 투르판 등의 조각)과 투르키스탄조각(토프락 카라 출토조각, 바미얀조각 이란조각(선사, 아케메네스, 파르디아, 사산왕조, 이슬람시대) 동남아 조각(버마, 타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일본조각(원시, 고대, 중세, 근세) 등을 무헌과 작품 감상을 통해 연구케 한다.
CV607 인도조각사Ⅰ (History of Indian SculptureⅠ) 3학점
동양조각의 근원지인 인도 조각 중 인더스 조각에서부터 굽타 시대 조각까지 연구한다, 인더스조각 중 하랍파와 모헨조다로 부토조각, 베다 시대의 미비했던 조각, 헬레니즘조각의 영향, 간다라ㆍ마투라ㆍ사르나트 조각 등 불교이전의 조각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동양조각의 핵심요소가 무엇이며, 초기 인도조각들의 조형적 가치와 동남아에 산재되어 있는 여신조각, 다산 신앙과 인도 고대 조각과의 관계 등 인더스문화를 중심으로 발굴되는 고대 인도조각, 굽타 시대이전 조각의 전반적인 내용을 작품과 미술사적 배경 등을 통해 연구한다.
CV608 인도조각사Ⅱ (History of Indian SculptureⅡ) 3학점
동양조각의 근원지인 인도조각 중 굽타 시대 이후 조각과 특히 힌두 조각에 대해 6세기 이후의 힌두 조각이 번성하기 시작한 시대적 배경, 9세기경의 융성기 힌두조각, 카쥬라호, 남인도힌두 조각, 동인도 오리새 힌두 조각, 특히 우주합일에 의한 사원 벽을 장식한 관능조각 등을 연구하며, 고대 인도조각이 중국, 한국, 일본의 고대조각에 미친 영향 등을 폭넓게 연구한다.
CV609 근대조각론Ⅰ (Theory of Modern SculptureⅠ) 3학점
한국근대조각을 1920년대, 3ㆍ1운동으로 일제가 문화통치를 바꾸었던 1920년대, 그리고 1930년대, 1940년대, 해방후 6ㆍ25 전후까지의 근대조각을 연구한다.
CV610 근대조각론Ⅱ (Theory of Modern SculptureⅡ) 3학점
현대 조각의 바탕과 근간이 되어준 근대조각을 중심으로, 현대 조각의 필연성과 사회발달 과정을 통해 자생적으로 탄생되는 새로운 조각의 장르 연구와, 이것들이 미래의 조각계에 미치는 영향과 또 다른 새로운 장르의 조각을 탄생시키게 되는 과정을 연구한다.
CV611 조형론 (Theory of Plastic Arts) 3학점
조형의 개념과 전반적 조형이론을 연구하고 조형 이론에 접근하는 방법 중 그동안 서양의 조형, 미학적 방법에서 벗어난 동ㆍ서양의 조형미에 대한 접근 방법의 차이점과 같은 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조형의 원리와 질서파악을 작품을 통해 분석하며, 급변하는 현대미술에서 조형적 개념의 변화와 그에 따른 조형의 의미를 재정립해보고, 조형예술이론과 전반적인 문제를 이론과 참고작품을 통해 재 고찰해 본다.
CV612 인체조형론 Theory of the Plastics of Human Body) 3학점
작품 창조에 있어서 시각상의 원리와 조형 표현성에 관한 문제를 미학적 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이론적 태도를 부여하며 인체를 중심으로 해서 인체가 지닌 근본적인 조형미를 자연론적 입장에서 인간의 그릇으로서 우주와 자연의 집합체로서, 신비한 근원으로서 인체미와 현실과 감정의 구현제로서 인체미, 기본질서의 척도로서 인체미, 생명력과 인체미 등 인체가 지닌 조형의 의미와 질서, 요소 등의 여러 가지를 다양한 미학적 이론으로 재정리 파악해본다.
CV613 추상조형론 (Theory of Abstraction Sculpture)3학점
존재하는 모든 오브제를 통해 대상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것과 외적인 것 내면적인 것 심리적인 것을 구성적인 측면에서 연구케 하여 대상을 집합시키기도 하고 파괴시키기도 하며 오브제의 재분석 재결합을 통해 또 다른 창조적 조형성을 연구케 하며 현대미술에서 추상미술적인 제 요소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어떻게 조형적인 가치가 부여되는지 등을 작품과 이론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재분석해본다.
CV614 현대조각론Ⅰ (Theory of Contemporary SculptureⅠ) 3학점
20세기 이후조각의 변모과정의 요인 및 앞으로 전개될 현대조각의 방향 및 미학적 근거, 현대 조각이 내포하고 있는 조형적 의미, 내지 이미지의 연구와 추상조각 출현의 미술사적 고찰 및 출현의 필요성, 설치미술 등 20세기 조각의 말기 현상 등을 연구케 하며 한국의 현대조각의 흐름을 가미해보며 한국의 자생조각이 서구 현대조각의 범람이 어떻게 존속되고 있으며 우리조각의 현대화는 무엇이며 현대화의 기준이 어떻게 발생됐으며 조각에서의 현대의 의미와 현대 조각의 나아갈 길을 연구케 한다.
CV615 현대조각론Ⅱ (Theory of Contemporary SculptureⅡ) 3학점
20세기 이후조각의 변모과정의 요인 및 앞으로 전개될 현대조각의 방향 및 미학적 근거, 헌대조각이 내포하고 있는 조형적 의미, 내지 이미지의 연구와 추상조각 출현의 미술사적 고찰 및 출현의 필연성, 설치미술 등 10세기 조각의 말기 현상 등을 연구케 하며 한국의 현대조각의 흐름을 가미해보며 한국의 자생조각이 서구현대조각의 범람 속에 어떻게 존속되고 있으며 우리 조각의 현대화는 무엇이며 현대화의 기준이 어떻게 발생됐으며 조각에서의 현대의 의미와 현대 한국조각의 갈 길을 연구한다.
CV616 소조실기Ⅰ (Plastics of SculptureⅠ) 4학점
전통적인 정신개념을 바탕으로 한 조각 중 인체를 통한 인체가 지닌 조형적 의미와 인체라는 형태를 통해 자기 감정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고 조소에서 인체가 지니는 의미를 연구케 한다.
CV617 소조실기Ⅱ (Plastics of SculptureⅡ) 4학점
전통적인 개념을 바탕에 둔 조각 중 인체를 조형의 표현요소로 활용해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고 축소, 확대, 변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자기표현의 조형적 최대치를 찾는 연구를 한다.
CV618 소조실기Ⅲ (Plastics of SculptureⅢ) 4학점
전통적인 개념을 바탕에 둔 조각 중 인체를 조형의 표현요소로 활용해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고 축소, 확대, 변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자기표현의 조형적 최대치를 찾는 연구를 한다.
CV619 조소특강Ⅰ (Topics in SculptureⅠ) 3학점
빠르게 변하는 현대조각의 이론과 실기를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작가, 재료, 이론, 기타 제작과정에 관계되는 환경 등 새로운 조각의 변모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집중 연구한다.
CV620 조소특강Ⅱ (Topics in SculptureⅡ) 3학점
빠르게 변하는 현대조각의 이론과 실기를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작가, 재료, 이론, 기타 제작과정에 관계되는 환경 등 새로운 조각의 변모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집중 연구한다.
CV621 조소특강Ⅲ (Topics in SculptureⅢ) 3학점
현재조각의 이론과 실기를 그때 상황에 따라 작가, 재료, 이론 기타제작과정에 관계되는 환경 등 새로운 조각의 변모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3단계로 나누고 그 중 마지막 단계를 심도 있게 연구한다.
CV622 조형연습Ⅰ (Seminar in SculptureⅠ) 3학점
전통적인 조형개념을 바탕으로 해서 과거에 보아온 입체조형을 현대적이고 참신한 표현양식의 창조 및 발견을 위한 실험적인 기법을 단계별로 연구하여 새로운 조형성 창조에 다양한 아이디어를 개발시킨다.
CV623 조형연습Ⅱ (Seminar in SculptureⅡ) 3학점
다양한 입체물을 응용 활용해 보다 폭넓은 조형 세계를 구성적 또는 기하학적 집합적 상징적으로 다양하게 구사해서 인간의 내재된 내적 심리적 감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기술 및 독창성을 개발시키는 데 있다.
CV624 조형연습Ⅲ (Seminar in SculptureⅢ) 3학점
전통적 조각 재료와 현대문명의 총아인 철과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가지고 입체조형 또는 평면조형이라는 형태를 통해서 인간의 내재된 감정을 시각적 입체조형언어로 구사하는 능력을 기르고 입체조형에서 비구상적인 형체가 지닌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조형성을 연구한다.
석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 0학점
석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 0학점

미술학과 (산업미술전공)

산업미술 전공
IA601 공예론 (Studies In Crafts) 3학점
공예의 본질과 특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공예가, 디자이너로서 논리적 근거와 통찰력을 갖고 디자인 및 제작에 임할 수 있도록 공예의 미적 체험, 가치 등이 미학적 이해와 해석, 경제적 가치, 산업기술과의 상관관계 등에 관하여 전공분야에 연관된 문제를 중심으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현대와 미래사회에서 공예의 역할, 민족전통을 구현하는 생활 문화로서의 공예의 정체성을 이해하며, 공예품에 대한 해석 비평 등의 과정을 통해 공예관을 확립하고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실제 작업과의 연계성을 통하여 체득하게 하여 수준 높은 디자인 및 제작 능력을 증진시킨다.
IA602 산업디자인론 (Studies In Industrial Design) 3학점
산업디자인 전반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분야에 대한 심오한 이론적 탐구를 통하여 실제 디자인 및 전개 및 작업과정에서 뚜렷한 개념정리와 이론적 기반을 형성함으로써 산업디자인에 대한 폭넓고 수준 높은 통찰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산업디자인의 개념, 산업디자인의 영역, 산업디자인과 마케팅, 제품관리, 제품디자인 관리, 경영과 산업디자인의 미래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산업디자인의 제 문제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체계화한다.
IA603 전공실기Ⅰ (Practice in Major FieldⅠ) 4학점
전공분야에 관한 심도있고 다양한 이론적 탐구를 통하여 연구목적, 방향, 방법 드을 명확히 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과정에서 합리성과 창의성을 확립하도록 하고 실제 제작과정에서 수준 높은 실기능력을 체득한다. 이를 위하여 전공 분야의 새로운 흐름을 이해하고, 디자인 컨셉, 발상기법, 분석, 표현기법을 익히며 고도의 숙련된 실기 및 실무 능력을 체득한다.
IA604 전공실기Ⅱ (Practice in Major FieldⅡ) 4학점
전공실기 1의 심화 과정
IA605 전공실기Ⅲ (Practice in Major FieldⅢ) 4학점
전공실기 2의 심화과정
IA606 특수과제연구 (Studies In Special Project) 3학점
각 전고의 전문분야 연구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 과제에 관하여 집중연구 할 수 있도록 선정된 연구과제를 심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는 연구과제에 따른 특수한 표현기법, 연구방법, 연구과제를 위한 현장 연수 및 견학, 조사, 실습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심도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체득한다.
IA607 전공실기특론Ⅰ (Special Practice in Major FieldⅠ) 3학점
각 전공의 전문분야에 관한 특성화, 전문화 영역과 과제를 연구 개발하여 집중 연구케 하여 전공영역의 연구를 심화시키는데 목적은 둔다. 이는 나날이 다변화, 특성화되고 있는 산업미술 분야의 교육환경에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고 이를 전공과정에 적용하여 전문영역의 수준 높은 실기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릉 위해 특수한 전통기법의 현대적 수용과 특화, 첨단 분야의 교육을 통해 실무적 해결 능력을 증진시킨다.
IA608 전공실기특론Ⅱ (Special Practice in Major FieldⅡ) 3학점
전공실기 특론 1의 심화과정
IA609 전공실기특론Ⅲ (Special Practice in Major FieldⅢ) 3학점
전공실기 특론 2의 심화과정
IA610 한국공예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 3학점
학문으로서의 공예사를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체적 흐름을 파악하고 전공분야를 중심으로 심화한다. 각종 공예문화의 변천과 발달을 연구분야와 연계하여 역사적으로 해석, 기술하고 공예품 상호간의 관계, 당대의 다른 문화 현상과의 관계성을 검토하여 전문공예가, 디자이너로서 한국전통문화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시대적, 영역별로 작품을 구분하고 그 내용과 형식면을 적절한 개념을 통해 일정한 관점으로 정리한다. 더 나아가 개인적 연구과제와의 관계성을 연구하고 공예품의 감상과 비평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사적 근거를 가진 작품의 연구는 물론, 공예와 디자이너로서 본질적 소양도 쌓는다.
IA611 문양디자인론 (Studies in Pattern Design) 3학점
시각적 대상으로서 미적추구심(美的追求心)이 뚜렷하게 반영되어온 문양의 개념, 유형과 전개형식을 이해한다. 더 나아가 한국문양을 중심으로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한 문양의전개방시과 그 활용방법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각 전공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지식을 함양한다.
IA612 제품디자인연구 (Studies in the Product Design) 3학점
제품디자인의 심화과정으로써 과학기술의 진보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신제품디자인개발의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신제품디자인 컨셉설정 관련인자의 탐색과 분석, 합리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전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창출방법과 미래디자인의 가치를 조망하는 객관적 통찰력으로 기업 전략에 부응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실제 프로젝트를 통하여 교수하는 과목이다.
IA613 가구디자인론 (Studies in the Furniture Design) 3학점
가구 디자인 전반에 관한 심도있는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실무중심의 가구디자인 및 제작능력을 함양한다. 이를 위해 가구의 역사, 재료, 구조, 문양, 마감재에 관하여 연구하고 가구디자인의 새로운 흐름을 파악한다. 또한 가구디자인의 특성, 마케팅분석 매니지먼트, 디자인 컨셉 및 구조화 방법, 프리젠테이션 연구, 생산라인, 현장적응 실용적 실무중심의 능력을 기른다.
IA614 목칠재료연구 (Studies in the Material for Wood and Lacquer) 3학점
목재와 칠을 주재료로 하는 목칠공예의 재료 전반에 관한 종류, 특성에 관하여 과학적 실증적 이론에 근거하여 이해한다. 나아가 목재와 천연 및 합성 칠 재료의 종류, 식물학적, 화학적 구조, 성문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목칠 공예품의디자인 및 제작능력을 증진시킨다. 이를 위하여 목재의 조직, 성상(性狀), 제재, 목재처리, 목재가공 등에 관하여 익히고, 천연 칠의 채취, 성분연구, 정제, 천연 칠 및 합성 칠의 화학적 특성과 이를 이용한 기법 문제를 공예품의 디자인 및 제작과정과 연계하여 연구한다.
IA615 섬유재료연구 (Studies in the Material for Fiber) 3학점
섬유공예 재료 전반에 관한 종류 특성에 관하여 과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이해한다. 나아가 섬유의 종류와 염류의 적용방법, 섬유종류와 염류에 따른 표현기법의 연구를 통하여 섬유공예품의 디자인과 제작능력을 증진시킨다. 이를 위하여 면사, 양모, 견사, 종이, 피혁 등 섬유재료의 구조, 특성을 이해하고 염료의 종류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익히며, 기법과 재료에 따른 상관성을 연구한다.
IA616 영상디자인연구 (Studies in the Image Design) 3학점
다양한 시각적 체험과 인식의 확장을 위한 영상 매체와 표현방식에 관한 기본이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나날이 변화해 가는 영상매체의 실제적 활용과 적용능력 증진을 위해 실무중심의 표현능력을 체득한다. 이를 위해 기계복제 시대에서 전자 복제 시대로 변화를 주도하는 각종 매체를 전공분야 연구영역의 활성화와 확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 실무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IA617 컴퓨터그래픽 (Computer Graphics) 3학점
컴퓨터그래픽의 전문적인 이론과 실제응용에 관하여 심도 있는 이해하고, 디자인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 컴퓨터 응용디자인의 종합적인 단계를 연구한다. 또한 2D, 3D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라이브 영상과 합성된 이미지, 멀티미디어, CD-ROM 제작 및 3D 표현기법을 활용한 가상 현실의 모델(VRML)제작에 관하여 연구한다.
IA618 광고디자인연구 (Studies in the Advertising Design) 3학점
산업화 정보화 시대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광고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광고의 사회적 경제적 기능, 산업에서의 역할, 광고의 계획과 창조적인 디자인 방법 등 광고에 관한 폭넓고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광고제작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광고의 역사, 광고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광고, 광고의 윤리, 조사의 기능 소비자 연구, 생산분석, 마케팅분석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카피라이팅(Copywriting),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매체계획 신문, 잡지, TV, 라디오, 우편물, 기타매체 등의 실제 광고디자인 문제를 다루도록 한다.
IA619 포장디자인연구 (Studies in the Package Design) 3학점
단순히 상품을 보호하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일상생활 속에서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포장의 소재, 기능, 형태 등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디자인 작업을 통하여 실무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포장의 개념을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고, 포장의 분류 포장디자이너로서의 조건, 포장디자인의 계획, 소재, 구조와 성형, 제조공정과 실제제작을 통한 실무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IA620 조사방법론 (Survey Method) 3학점
객관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모든 연구의 기본이 된다. 본 강좌에서는 올바른 자료수집을 위한 기본적인 조사기법의 이해와 수집된 자료의 기본적 통계처리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기법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설문지 조사의 계획 및 실사를 중심으로 설문제작법, 표본추출 방법, 통계조사실습, SAS나 SPSS 등의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자료분석 방법을 그 내용으로 한다.
석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 0학점
석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 0학점

TOP



교육과정

  • ① 예술가로서의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학생에게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 ② 고도의 전문적인 스튜디오 지향적 환경에서 지적, 기술적 교육을 추구한다.
  • ③ 비판적 탐구와 실험을 고무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