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학과소개
  • 인문사회계

인문사회계



철학과

동서고금의 철학사상 전반에 나타난 철학의 제 문제들을 이해, 분석, 비판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도덕적 실천가를 양성한다.

1) 석사과정

철학과 석사 과정은 철학의 문제와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주어진 상황에 대해서 철학적인 안목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자세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고, 철학의 학문적 성격과 현실의 요구를 반영하는 철학 교육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국가와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박사과정

철학과 박사 과정은 철학의 제 문제와 이론에 대하여 균형 잡힌 지식과 안목을 길러 스스로 철학적인 문제를 개발하고 제기하며 주어진 문제들에 대하여 접근하고 탐구하며 해결하는데 있어서 독자적인 식견과 합리적인 자세를 갖추어 국가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OP



교육과정

1) 석사과정

  • ① 원전 해독 능력과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지식인을 양성한다.
  • ② 철학적 자질과 소양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한다.
  • ③ 철학적 식견과 함께 투철한 도덕적, 반성적 태도를 갖춘 균형 잡힌 지식인을 양성한다.

2) 박사과정

  • ① 철학사와 철학의 제 문제에 대한 넓은 안목과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전문적인 학자를 양성한다.
  • ② 현실에 대하여 독자적인 식견과 통찰을 갖춘 철학적 지식인을 양성한다.
  • ③ 도덕적 반성에 있어서 투철한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지식인을 양성한다.

TOP



교수소개

성명 직위 학위 전공 연구분야
김왕연 교수 철학박사(고려대학교) 한국철학 한국철학
김용환 교수 철학박사(Wales Univ.) 사회정치철학 사회정치철학
최신한 교수 철학박사(Tübingen Univ.) 독일철학 독일척학
황종환 교수 교육학박사(서울대학교) 환경윤리학 환경윤리학

TOP



교과목소개

○ 서양철학전공

PY601 서양고대철학연습 (Seminar in Ancient Western Philosophy)3학점

밀레토스 학파에서 다원론자들에 이르는 자연철학자들,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에피큐로스학파와 스토아철학에 이르기까지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을 연습한다.

PY602 서양중세철학연습 (Seminar in Medieval philosophy)3학점

아우구스티누스와 보에티우스, 보편논쟁과 성 안셀무스, 보나벤투라, 토머스 아퀴나스, 그리고 아베로에스, 둔스 스코투스, 옥캄에 이르는 중세 철학을 연습한다.

PY603 서양근세철학연습 (Seminar in Modern philosophy)3학점

데까르트에서, 스피노자, 라이프니쯔, 록크, 버클리, 흄, 칸트까지 서구 근대 철학을 연습한다.

PY604 합리론연습 (Seminar in Rationaism)3학점

데까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쯔, 볼프, 칸트 등 근세 합리주의 철학을 연습한다.

PY605 경험론연습 (Seminar in Empiricism)3학점

프랜시스 베이컨, 토머스 홉스, 존 록크, 죠지 버클리, 데이빗 흄, 토머스 리이드, 제러미 벤담, 죤 스튜어트 밀 등 근현대의 경험주의 철학을 연습한다.

PY606 인식론연습 (Seminar in Epistemology)3학점

데까르트와 흄, 칸트 등 서양 근대 인식론과 토대론, 정합론 등에 대한 인식론의 문제와 개념들에 대한 현대 인식론 중에서 주요 문헌을 선택하여 연습한다.

PY607 형이상학연습 (Seminar in Metaphysics)3학점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로서의 존재에 대한 연구, 인식의 가능 근거를 밝히는 칸트의 초월론적 형이상학, 근원적인 존재 물음으로서의 하이데거의 근원적 형이상학 등, 서양철학사에서 두드러지는 형이상학 사상을 선택하여 연습한다.

PY608 현대윤리학연습 (Seminar in Contemporary Ethics)3학점

G.E.무어 이후 스티븐슨, 헤어 등메타윤리학의 주요 문헌과 롤즈에 의해서 재등장한 현대의 규범적 사회윤리 사상을 연습한다.

PY609 사회철학연습 (Seminar in Social Philosophy)3학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마키아벨리, 홉스, 룻소, 록크, 칸트, 헤겔, 마르크스 등 서구의 주요 정치사회 사상을 연습한다.

PY610 예술철학연습 (Seminar in Philosophy of Art)3학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바움가르텐, 칸트, 헤겔 등 서양철학사의 예술철학·미학 관련 주요 문헌들을 연습한다.

PY611 문화철학연습 (Seminar in Philosophy of Culture)3학점

문화현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보여주는 주요 철학자들의 문헌을 연습한다.

PY612 환경철학연습 (Seminar in Philosophy of Environment)3학점

환경 문제와 관련된 철학적, 문화적, 신학적 반성을 제공하는 주요 문헌들을 연습한다.

PY613 음악미학연습(Seminar in the Aesthetics of Music)3학점

PY614 서양고대철학연구 (Studies in Ancient Western Philosophy)3학점

초기 자연철학과,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와 다원론자들 등 자연철학자의 주요 단편과 플라톤의 주요 대화편,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문헌에서 주제를 선택하여 연구한다.

PY615 서양중세철학연구 (Studies in Medieval Western Philosophy)3학점

서양 중세 철학의 중요 사상가를 선택·연구한다. 주로 교부 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와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인 신학자 아퀴나스를 다룬다.

PY616 서양근세철학연구 (Studies in Modern Western Philosophy)3학점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흡스, 로크, 버클리, 흄, 칸트, 쉘링, 헤겔에 이르는 근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방법론, 인식론, 도덕 이론, 정치론, 종교론 등의 주제로 나누어서 선택적으로 연구한다.

PY617 인식론연구 (Studies in Epistemology)3학점

근세 이래 서구 인식론의 문제와 이론을 다룬다. 데카르트, 영국 경험론, 칸트의 인식론의 주요 논제들을 그들의 저술을 통하여 정리하고, 분석하고, 이들 사상에 대한 현대의 연구가들의 연구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근세 인식론의 현대적 의미를 찾는다.

PY618 형이상학연구 (Studies in Metaphysics)3학점

형이상학의 핵심 고전을 강독함으로써 개별적인 텍스트가 담지하는 독특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해명하며 더 나아가 그때마다 독특하게 전개된 형이상학적 사유와 철학사 간의 상호 관계를 밝힌다. 특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헤겔의 ≪철학강요≫를 분석함으로써 근대에 있어서 형이상학의 학적 완성의 추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형이상학 전개가 갖는 현대적 의미를 탐구한다.

PY619 현상학연구 (Studies in Phenomenology)3학점

후설 현상학의 발생과 전개, 그리고 그 영향사에 대해 탐구하며, 특히 현상학의 고유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 과목은 ≪이념들≫과 ≪유럽 학문의 위기와 선험 현상학≫의 분석을 통해 현상학의 방법을 규명한다.

PY620 사회철학연구 (Studies in Social Philosophy)3학점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인 사회, 정치 철학자들의 저술을 선택하여 연구한다.

PY621 경험론연구(Studies in Empiricism)3학점

베이컨의 ≪학문의 진보≫, 홉스의 ≪리바이어던≫과 ≪물체론≫, 로크의 ≪인간오성론≫과 ≪시민정부론≫, 버클리의 ≪인간 지식의 원리≫, 흄의 ≪인성론≫ 등 경험주의 철학의 주요 저술 가운데 선택하여 연구한다.

PY622 합리론연구 (Studies in Rationalism)3학점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성찰≫, ≪정념론≫, 스피노자의 ≪에티카≫, 라이프니츠의 ≪인간오성신론≫, ≪신정론≫ 등 합리주의 철학의 주요 저술을 선택하여 연구한다.

PY623 해석학연구(Studies in Hermeneutics)3학점

이 과목은 해석학의 전통을 이룩한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하이데거, 가다머의 원전을 강독하고 분석함으로써 해석학을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그 문제성을 천착한다.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강의≫에서는 "사유와 언어의 관계"를 다루고, 딜타이와 하이데거에서는 "삶 내지 실존과 이해의 관계"를 다루며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에서는 전통 해석학과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영향사적 이해"를 다룬다.

PY624 독일관념론연구 (Studies in German Idealism)3학점

선험철학의 극복으로 평가되는 독일관념론의 핵심문제를 다룬다. 먼저 독일관념론의 선구자격인 칸트 선험철학의 목적과 한계를 규명한 뒤 이 한계의 극복으로 시도되는 독일관념론의 과제와 그 해결 과정을 탐구한다.

PY625 철학적인간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ical Anthropology)3학점

인간 개념의 성격 규정을 비롯해서 생물학적 인간 해석의 특징과 그 속성, 인간됨의 존재론적 성격,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자인가?, 육체와 정신과의 관계, 인간의 영혼은 불멸인가?, 인간의 자기 정체성, 인간의 권리 등을 연구한다.

PY626 종교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Religion)3학점

칸트의 (이성의 한계 내에서의 종교), 헤겔의 (종교 철학),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을강독 함으로써 종교 사상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개관하되, 종교에 나타나 있는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관계, 신앙과 지식의 관계, 계시와 이성의 관계 등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이 과목은 절대존재를 다루기 때문에 형이상학적 신론에 대한 선지식을 요구한다.

PY627 실존철학연구 (Studies in Existential Philosophy)3학점

현대 실존주의 사상가들의 저술을 선택하여 연구한다. 실존철학의 시원과 그 추이를 고찰하며 현대 철학에서 차지하는 실존철학의 의미를 조명한다. 특히 좁은 의미의 실존철학이 퇴색한 것으로 보이는 현대에 있어서 실존철학적 사유가 갖는 의미를 탐구한다. 주요 텍스트는 키에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과 ≪죽음에 이르는 병≫,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야스퍼스의 ≪철학≫이다.

PY628 낭만주의연구 (Studies in Romanticism)3학점

독일관념론과 더불어 칸트철학의 대안으로 등장한 낭만주의 사유를 슐라이어마허, 슐레겔, 노발리스를 중심으로 탐구하며, 특히 초기 낭만주의의 미학적 사유와 종교적 사유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합리성의 지평을 넘어가는 감각, 상상력, 직관의 복권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초기 낭만주의가 칸트의 이원론을 극복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PY629 문화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Culture)3학점

제반 문화 형식에 대한 비판적·철학적 연구. 문화철학이 발생된 철학사적 배경과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특히 카시러(E. Cassirer)의 텍스트를 통하여 그의 문화철학 속에 함축된 종교철학적 성격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PY630 환경철학연구 (Studies in Eco-Philosophy, Environmental Philosophy)3학점

환경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전통적 자연철학적 배경과 관련하여 고찰한다. 생태적 위기의 철학적 의미와 이념적 배경인 이분법적 사유방식, 진보신앙, 영지주의 등을 검토한다.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현대 환경철학자, 환경윤리학자, 환경신학자의 진단과 대안을 연구한다.

PY631 비교철학연구 (Studies on Comparative Philosophy)3학점

존재에 근거하는 서양 철학의 전통과 일본 사상 특히 니시다, 다나베, 니시타니로 이어지는 교토 학파의 사상을 비교·검토한다. 특히 인간의 의식을 명료화하려는 서양 사상과 의식으로부터 자유를 실천하려는 일본사상 사이의 차이를 종교철학적 함의를 연구한다.

PY632 키르케고아 연구 (Study on S. Kierkegaard)3학점

PY701 서양고대철학특강 (Topics in Ancient Western Philosophy)3학점

서양 고대 철학의 -문제운동의 문제, 일과 다의 문제, 존재와 사유의 문제 등- 나 주요 철학자의 문헌 가운데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PY702 서양중세철학특강 (Topics in Medieval Western Philosophy)3학점

중세 철학의 중심 문제들 가운데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여 강의한다. 신의 존재 증명의 문제, 구원의 문제, 기독론, 중세 논리, 유명론자들의 이중 진리설과 개념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문제, 기독교 역사 철학의 문제 등에 대해 특강한다.

PY703 서양근세철학특강 (Topics in Modern Western Philosophy)3학점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홉스, 로크, 버클리, 흄, 칸트, 쉘링, 헤겔에 이르는 근세 철학자들 가운데 선택하여 핵심 사상에 대해 특강한다. 강의의 주제는 주로 방법론, 인식론, 도덕 이론, 정치론, 종교론 등의 주제로 나누어서 이루어진다.

PY704 인식론특강 (Topics in Theory of Knowledge)3학점

데카르트, 영국 경험론, 칸트의 인식론의 주요 논제들을 그들의 저술을 통하여 정리하고 분석하는 한편, 이들 사상에 대한 현대의 연구들을 검토하되, 특히 근세 인식론의 여러 문제와 이론들이 현대 사상에 끼친 영향에 주목한다.

PY705 형이상학특강 (Topics in Metaphysics)3학점

형이상학의 현대적 논의를 소개하고 평가하며 형이상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형이상학 이후의 사유"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전통 형이상학의 현재적 의미를 규명한다. 칸트를 따라 여전히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전통적 입장과 학적 형이상학을 비판하면서 비합리성의 형이상학을 추구하는 탈현대적 입장을 대비함으로써 현대와 탈현대 논의의 형이상학적 위상을 평가하고 새로운 형이상학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PY706 현상학특강 (Topics in Phenomenology)3학점

후설 현상학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후설 현상학과 연관을 지니고 있는 현대철학의 문제들을 다룬다. 현상학과 실존철학, 현상학과 철학적 인간학, 현상학과 해석학, 현상학과 사회철학, 현상학과 종교학 등 현상학의 적용 영역과 그 성과를 분석한다. 또한 현대철학에 끼친 생활세계 현상학의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위기 속에 있는 현대적 학문의 미래적 방향을 모색한다.

PY707 윤리학특강 (Topics in Ethics)3학점

서양윤리학사상에 있어서 중심적인 철학자의 작품을 택하여 그이론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특히, 시대 안에서의 도덕 체계의 기능과 작용을 검토하며, 동양윤리사상과도 비교ㆍ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PY708 사회철학특강 (Topics in Social Philosophy)3학점

여러 사회 정치적인 개념들에 대해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여 특강한다. 자유, 정의, 권리와 권위, 법과 처벌, 사형제도의 정당성 근거, 정치적 의무론,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문제 등과 민주주의와 관용,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최근의 신보수주의 경향 등 여러 이념들에 대해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한다.

PY709 경험론특강(Topics in Empiricism)3학점

영국 경험론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의 사상 가운데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강의한다. 베이컨, 홉스, 로크, 버클리, 흄 가운데 한 사람을 중심으로 다룬다. 특강의 주제는 인식과 방법, 마음과 몸의 문제, 도덕 이론, 정치론, 종교론 등이다. 최근의 논의 방향을 소개하고 기존에 전개된 논쟁점들을 소개한다.

PY710 합리론특강 (Topics in Rationalism)3학점

데카르트, 말브랑쉬, 스피노자, 라이프니츠로 계승되는 대륙 합리론자들의 사상을 주제별로 강의한다. 데카르트와 말브랑쉬를 하나로 묶고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를 묶어서 두 사람의 철학자를 비교·분석한다. 인식론, 도덕이론, 심신문제, 종교론 등의 주제로 나누어서 강독과 강의를 병행한다.

PY711 해석학특강 (Topics in Hermeneutics)3학점

해석학의 현대적 논의를 소개하고 평가한다. 구조주의와 연관된 현대 프랑스 철학의 해석학, 텍스트론과 연관된 슐라이어마허 재해석, 생철학의 전통에서 새롭게 구성된 립스(Lipps)와 쾨니히(König)의 해석학 등이 가다머와 하버마스의 논쟁과 함께 다루어진다. 또한 해석학의 현대적 논의에서 배제될 수 없는 은유의 문제성을 다루며, 더 나아가 새로운 대상 영역에 걸맞는 새로운 주관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 과목은 전통 해석학에 대한 이해를 전제한다.

PY712 독일관념론특강 (Topics In German Idealism)3학점

독일관념론의 최고봉인 후기 헤겔의 체계철학을 다룬다. 헤겔의 체계철학의 근간이 기술되어 있는 ≪엔치클로페디≫의 ≪논리학≫과 ≪대논리학≫을 엄밀하게 분석하고 재구성한다. 여기서는 범주적 사유의 원리와 운동 및 이것에 의해 구성되는 학문적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PY713 철학적인간학특강 (Topics in Philosophical Anthropology)3학점

인간이란 무엇인가의 철학적 탐구를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현대 철학의 근본적 주제는 '인간론'이기 때문에 기계 사회 구조 안에서의 인간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길을 모색한다. 서양과 동양사상 사이에 인간론도 비교·정리한다.

PY714 문화철학특강 (Topics on Philosophy of Culture)3학점

여러 문화 형식을 통한 인간 이해의 방법을 강의한다. 캇시러의 주저인 ≪상징형식의 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텍스트로 삼아 문화와 인간 본질 사이의 상관관계를 천착한다. 독일관념론의 계승으로서 캇시러 문화 철학이 갖는 한계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PY715 종교철학특강 (Topics in Philosophy of Religion)3학점

종교철학은 세부적으로 철학적 신론, 종교현상학, 종교언어분석으로 구별된다. 이 과목은 이들 세 영역으로 구별되는 종교철학의 현대적 논의를 다룬다. 특히 철학적 신론을 중심으로 종교적 물음과 철학적 신학의 물음의 구별에 대해 다루고 종교에 대한 비판적 해석학과 존재-신론에 대해 논의한다.

PY716 실존철학특강 (Topics in Existential Philosophy)3학점

이 과목은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 사르트르 실존철학의 현재성을 다룬다. 특히 실존철학 이후의 철학 흐름 속에서 재조명되는 실존철학적 사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더 나아가 실존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적 연관성을 탐구한다.

PY717 환경철학특강 (Topics in Eco-Philosophy Environmental Philosophy)3학점

현대환경철학의 중심적 주제들을 학제간, 비교철학적 입장에서 고찰한다. 아우어(A.Auer)와 마이어-아비히(K. M. Meyer-Abich)의 대치된 환경위기 극복방안, 알트너(G. Altner)의 생명윤리학적 대안, 신마르크스주의의 자연주체론, 하버마스의 교통이론의 환경철학적 적용가능성, 일본 교토학파의 선불교적 종교철학과 한국의 풍수사상을 비교문화적 배경에서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PY718 기독교철학특강 (Topics in Christian Philosophy)3학점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철학적 모색. 기독교 및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신학적, 종교철학적, 기독교철학적 접근의 차이를 살핀다. 특히 인간사유의 자율성에 대한 종교적 성격을 어거스틴, 키에르케고아, 도이에베르도(H. Dooyeweerd)의 텍스트를 강독하며 토론한다.

PY719 비교철학특강 (Topics on Comparative Philosophy)3학점

니시타니 ≪종교론≫, 니시다의 ≪장소의 논리≫, 다나베의 ≪참회의 철학≫ 등을 독해 분석함으로써 일본 사상이 서양 사상 특히 독일 철학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그 한계점을 고찰하고, 교토학파의 종교철학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일본불교의 입장에서 키에르케고아의 종교적 실천에 대한 비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종국적으로 세계 속에서 우리의 것에 대한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모색한다.

PY720 음악미학 특강 (Lecture in the Aesthetics of Music)3학점



○ 동양철학전공

PY650 동양철학의제문제 (Problems of East Asian Philosophy)3학점

동양철학의 주된 문제와 방법론을 논하고 그것이 동양의 대표적 학자 또는 학파에 의해 어떻게 발휘되었는가를 집중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PY651 유가경전연습 (Seminar in Confucian Text)3학점

삼경 내지 오경(시,서,예,학,역경)을 중심으로 사서 사상과 구별되는 원시 유학 사상을 이해한다. 오경 사상은 사서 사상의 근원이 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자도 증자도 또 자사나 맹자도 여기서 뿌리하는 정신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통하여 상고대 유학 정신을 이해한다.

PY652 사서연습 (Seminar in Four Books)3학점

'논어', '대학', '중용', '맹자'가 각각 다른 시대에 다른 인물들로 저술되었다 하더라도 그 가운데는 도의 일관된 맥이 흐르고 있다 하겠다. 그 일관의 맥락을 대학의 팔조목인 格物,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로 연결하여 사서를 통관하여 보는 연습을 한다.

PY653 도가사상연습 (Seminar in Taoism)3학점

도가서의 중심이 되는 <도덕경>, <열자>, <회남자>, <포박자> 등을 정선하여 문제 중심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PY654 제자백가연습 (Seminar in Hundred Schools)3학점

묵가, 명가, 법가, 음양가, 병가 등 선진제자의 문헌을 선택하여 연습한다.

PY655 한국성리학연습 (Seminar in Korean Neo-Confucianism)3학점

여말선초에서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성리학의 전개에서 주요한 사상들을 원전 강독하고 연습한다.

PY656 한국실학연습 (Seminar in Korean Shil-hak)3학점

조선 중기 이후 등장하는 실학자들의 사상을 원전 문헌을 선택하여 강독하고 연습한다.

PY657 도교사상연구 (Studies in the Taoist Thought)3학점

동양사상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종교의 하나인 도교의 역사적 전개와 그 시대마다의 중심되는 사상을 검토한다.

PY658 제자백가연구 (Studies in the Hundred Schools)3학점

유가나 도가에 가려진 묵가, 명가, 법가, 음양가, 병가 등 선진제자를 연구함으로써 중국철학사상의 심연을 다루고 동시에 공맹철학이나 노장철학과의 관계 및 그 특징을 비교 연구한다.

PY659 도가․유가사상비교연구 (ComparativeStudies of Taoism and Confucianism)3학점

도가와 유가의 철학, 도덕, 정치사상의 유래와 형태 및 그 근본정신의 동이점을 비교 연구한다. 서로 다른 양상으로 외형하는 근본 성격을 경전 원의에 근거하여 비교하며 나아가 이들 두 철학 체계가 도모하는 이상적 경지는 어떠한 것인지를 연구한다.

PY660 맹순철학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Meng-Tzu's and Hsu-Tzu's Philosophy)3학점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이를 근거로 한 수양론, 사회 국가론, 나아가 정치관, 세계관을 연구한다. 이들이 같은 공자학에서 뿌리하면서 이렇게 서로 다른 방향의 철학 체계가 어떻게 발생되게 되는 것인가? 이들이 추구하는 궁극적 세계는 과연 서로 다른 것이기만 한 것인가? 양자의 공통 기반이 있다면 그를 밑받침할만한 원전적 근거가 있는가를 연구한다.

PY661 위진현학연구 (Studies of Neo-Taoism of Wei-Chin Dynasty)3학점

현학이라고 불리는 위진 시대의 도가 사상을 그 중심 인물을 선정하여 그에 대해 연구한다. ≪노자≫ ≪장자≫ ≪주역≫을 3현이라고 하므로 이들의 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제 학문을 탐구한다. 왕필, 완적, 향수 등 대표적인 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유교와의 절충적인 입장을 고찰하도록 한다.

PY662 한당유학연구 (Studies in Han and Tang Age's Confucianism)3학점

진의 분서갱유로 인한 유가철학의 단절로 새로운 출발을 의미하는 훈고학과 현실 정치에 염증이 난 학자들이 도가적인 풍류에서 드러나는 사장학의 기풍을 중심으로 대표적 주석가 또는 문장가들을 선별하여 연구한다.

PY663 동양인성론연구(Studies on the East Asian Views of Human Nature)3학점

유가, 불가, 도가의 인성론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그 인성론사에 나타난 특징과 동이점을 살펴본다. 특히 유가와 도가의 인성론에 대하여 중점적인 고찰을 하도록 하며, 유가의 대표적인 이론인 맹자와 순자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PY664 한국철학연습 (Seminar in Korean Philosophy)3학점

한국 철학사에 나타나는 인물이나 주제를 선정하여 그 사상가의 원전을 숙독하고 그에 근거하여 주변 철학적 이론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선정된 사상가나 주제에 대한 원숙한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한국 철학사 전반에 대한 조망을 가능케 한다.

PY665 정주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Cheng-Chu)3학점

주자학으로 집대성되는 중국 송대 성리학을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보고 이기론·심성론·수양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유가 철학의 특징을 밝힌다. 특히, 우주, 자연, 인간의 상호 관계성 위에서 다시 규명되는 인간의 특수성을 어떻게 수양 실천하여 성현의 경지까지 높일 수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분명한 지위를 규명한다.

PY666 육왕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Lu-Wans)3학점

송명대의 심학에서 상산학과 양명학은 최고의 절정을 이루는 것이며 육왕이라 명칭할 만큼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육상산이 송대 이후 심학의 단서를 열어 놓았다 한다면 왕양명은 심학의 사상 체계를 완성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육왕학의 핵심인 "심즉리"의 연원을 주자학과 대비하여 규명하고 이에서 비롯되는 "지행합일" "치양지" 등을 연구한다.

PY667 청대고증학및실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Ching Dynasty)3학점

송명 철학의 비판에서부터 출발하는 청대 학술의 특성을 고증학과 실학 정신으로 보고 이의 대표적 인물을 그의 철학 사상과 함께 연구한다. 고염무, 황종희, 왕선산 등의 사상을 다루되 이들이 후기의 실학사상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도록 한다.

PY668 한국성리학연구 (Studies in Korean Neo-Confudianism)3학점

전반적으로 고려말 조선초의 성리학으로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성리학의 전개를 중국의 송명 성리학과의 연관 속에서 검토하며, 시대별 성리학적 특성과 그 중에 드러나는 대표적인 성리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성리학의 중심 논제이며 동시에 한국적 특성을 잘 드러내는 여말선초 성리학, 도학, 사단칠정론, 인심도심론, 예론, 인물성동이론, 유리론, 유기론 등을 중심으로 그 철학적 논쟁들을 살펴본다.

PY669 한국실학연구 (Studies in Korean Sil-hak Thought)3학점

시대적으로는 조선 중기를 지나, 양란을 치른 이후의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철학적 사유로서 대두한 실학의 시원과 그발전 전개과정을 각각 그 특성을 달리하는 제반 실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검토하며 그 대표적 사상가들의 철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이전 성리학적 사유와의 동이점과 그 역사적 배경, 그들의 지향점 등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향후 전개될 수 있는 현 시점의 철학적 과제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의의를 찾는다.

PY670 한국역학연구 (Studies in Korean I-Ching Theory)3학점

중국 역학의 형성과 전개를 그 기저로 하여 한국 역학의 흐름을 사적으로 조망해보는 한편, 상수역과 의리역의 각각의 전개 과정을 비교 검토하며 그 대표적인 인물들을 선정 발굴하며 그들의 사상적 내용과 특성들을 숙지한다. 특히 한국역학사가 정리되어 있지 않는 만큼 한국 역학사를 구성할 수 있는 인물들의 자료 발굴에도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역학사상적 가치를 고찰해 보는 것에도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한국역학의 특성과 의의를 밝힐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PY671 한국불교철학연구 (Studies in Korean Buddhism)3학점

원시불교와 대승불교, 선불교의 사상적 바탕 아래 한국으로의 불교의 전래와 수용으로부터 그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한국에서의 불교는 전통신앙 형태와의 습합을 통해 이루어진 만큼 한국 사상사에서 전개된 불교 이론의 천착은 한국의 전통신앙 형태를 밝혀내는 데 필수불가결의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불교 사상가 중 그 대표적인 인물을 선정하여 그 불교이론에 대한 탐구와 그 이론의 한국사상사적 의의를 천착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종교의 위상과 앞으로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Y672 퇴계철학연구 (Studies in Toegye's Philosophy)3학점

조선조 성리학에 있어서 영남학파를 창시한 종주로서, 한국성리학의 정수로서 그리고 완성자로서의 퇴계를 집중적으로 그의 저술을 통해 규명한다. 즉, 그의 대표적인 저술인 자성록, 사단칠정논변서, 성학십도 등을 통해 조선조 성리학사에서 전개된 그 철학적 이론의 심오함과 특이성 그리고 역사적 사상사적 의의를 밝혀냄으로써 중국 성리학의 집성자인 주희의 철학 체계와의 동이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조선조에서의 퇴계 이전과 이후에 전개되었던 기타 제반 성리학 이론들과 비교·검토한다.

PY673 율곡철학연구 (Studies in Yulgok's Philosophy)3학점

퇴계와 함께 조선조 성리학의 두 봉우리이며 기호학파의 종주인 율곡 이이의 철학 이론은 퇴계의 이론과는 자못 그위상을 달리 한다. 그렇다면 그의 철학 체계는 어떠하였는가를 그의 저서인 율곡전서와 성학집요의 독해를 통해 밝혀본다. 그리고 그의 이런 철학체계의 구성은 조선조 사회에 있어서 어떤 모습으로 수용되었는가 역시 규명해 보아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율곡 철학의 특성은 후대에 어떤 형태로 영향을 끼치게 되는가 하는 점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연구의 관점이 될 것이다.

PY674 다산사서연구 (Studies in Dasan's Four Books)3학점

조선조 후기 실학의 집성자인 다산 정약용의 철학 체계를 그의 사서에 대한 저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실학적 해석 관점은 어디로부터 연유하고 있으며 성리학적 해석이 아닌 원시유학적 그의 해석이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지를 밝혀봄으로써 성리학과 실학의 철학적 형이상학의 상이점과 유관성을 숙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각기 다른 시대에 요청된 각기 상이한 철학체계임을 보다 분명히 알게됨으로써 한국사상사의 구성이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인식하게 될 것이다.

PY675 한국예론연구 (Studies in Korean Rituals)3학점

한국 성리학사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논의 중하나인 예학은 그 사상적 배경이 무엇이며, 예론에서의 각각의 상이점은 무엇으로부터 연유하는지를 살펴보며, 그 예론이 주장된 정치 사회적 배경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예론의 주장이 곧 그에 참여하는 사대부들의 정치적 성향을 결정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예학의 원론적인 성격과 그의 적용된 모습과의 괴리는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구는 조선조의 한 구체적 사상과 이론이 실제로 그 사회를 움직이고 있는 과정을 여실히 역사 속에 재현해 줌으로써 이 시대의 이론 전개의 지향처를 제시할 수 있게 하여 줄 것이다.

PY676 동서철학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Eastern and Western Thought)3학점

서양에 소개된 동양고전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서양철학의 시각에서 조망된 동양철학의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검토 연구한다. 이러한 작업은 현재의 철학이 개별적인 문화권에 따라서 발생하고 발전되어 왔음을 인식하고 그 각각의 사상이 이루어낸 성과를 비교 검토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도출해 냄과 동시에, 미래철학 건설의 기반으로 삼으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다.

PY677 순자연구 (Studies in Hsu-Tzu)3학점

≪순자≫를 텍스트로 택하여 원전을 근거로 거기에 나타난 그의 철학사상을 집중적으로 검토 연구한다.

PY678 명가연구 (Studies in Ming-Chia)3학점

명가의 대표적 인물인 혜시와 공소룡의 철학사상을 당대의 시대상황과 주변 철학사상과의 연계 속에서 검토 연구한다.

PY750 선진유가철학특강 (Topics in Ancient Chinese Confucianism)3학점

선진유학자의 대표적 인물인 공자, 맹자, 순자의 철학사상을 상호간의 시대적 특징과 각각의 철학적 중심논제를 택해 그에 대한 원전해독과 함께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주요 텍스트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순자≫ 등이다. 특히 이들 사상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선진유학의 각 사상들이 어떻게 함께 논의될 수 있는지 그 근거를 알아보도록 한다.

PY751 주자학특강 (Topics in Chu-Hsi Studies)3학점

성리학의 집성자인 주희의 전 철학체계 및 각각의 철학사상에 대해 원전에 근거하여 집중적으로 연구 및 강의를 진행한다.

PY752 양명학특강 (Topics in Yang-Ming Studies)3학점

양명학은 명대 중기에 왕양명이 제창한 신유학 이론으로 경서의 주자학적 해석에서 탈퇴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전습록≫을 중심으로 양명학의 형성과정과 그 사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양명학을 계승 발전한 여러 학자들을 계파를 나누어서 강의한다.

PY753 중국불교특강 (Topics in Chinese Buddhism)3학점

불교의 중국화 과정과 그 전개에 있어서 나타나는 사상을 특정인물이나 사상을 선정하여 강의한다. 특히 노장철학자들에 의한 해석에서 비롯된 격의불교를 인도불교의 진수와 비교하여 이들간에 어떠한 차이점을 지적하여 볼 수 있는가를 찾아보고, 또한 불다, 무상, 무아, 연기, 열반, 공, 유식, 윤회전생과 인과응보, 형, 정, 혜, 유가, 진언밀의, 자비, 현량, 此量, 非量 등에 관하여 철학 종교적 또는 윤리적 입장에서 비판적 조명을 한다.

PY754 선사상특강 (Topics in Zen Thought)3학점

중국 선불교의 역사적 전개와 그 전개상에 등장하는 사상을 특정 인물이나 사상을 선정하여 그에 대해 강의 및 연구를 진행한다.

PY755 유교정치사상특강 (Topics in Confucian Political Thought)3학점

중국 정치사상사의 전개에 있어서 유교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그리고 그철학적 배경에 대한 강의 및 연구를 진행한다.

PY756 중국종교사상특강 (Topics in the Chinese Religious Thought)3학점

중국인들의 생활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민간 신앙이 종교사상으로 성립되는 과정과 그 외형으로 드러난 유교, 불교, 도교가 각각 어떻게 자기기반을 확립하며 서로간의 교섭관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고찰한다. 특히 제종교가 판도들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적 조건과 역사적 변천을 겪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리와 제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PY757 중국윤리사상특강 (Topics in Chinese Ethical Thought)3학점

동양 윤리사상사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제반 이론들에 대해 역사적 혹은 사상사적으로 주요한 인물이나 사상을 선정하여 강의한다.

PY758 동양미술사상특강 (Topics In the East Asian Aesthetic Thought)3학점

동양 미학사의 전개상에 나타나는 제반 미학이론들에 대해 역사적 혹은 사상사적으로 주요한 인물이나 사상을 선정하여 강의하되, 특히 본 강의는 서복관의 ≪중국예술정신≫과 양가락 주편≪화론총간≫을 토대로 강의한다.

PY759 중국현대철학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y)3학점

중국 현대철학사에 등장하는 주요인물이나 사상을 선정하여 그에 대해 집중적인 강의 및 연구를 진행한다.

PY760 한국기철학특강(Topics In Korean Ki-Philosophy)3학점

한국의 고대 사상과 깊은 연맥 속에서 진행되어 온 기를 중심으로 한 이론에 대해 그 중심 되는 인물들을 선정하여 그 저술들을 발굴하여 독해하고자 한다. 조선조 기철학의 대표적 사상가인 화담 서경덕으로부터 혜강 최한기에 이르기까지의 기철학사를 구성함을 목표로 하여 그간의 발표된 논문들과 아직 연구되어지지 않은 사상가들을 찾아 보완함으로써 한국 유학사의 양대 흐름인 성리학사와 기철학사와의 형평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PY761 한국성리학특강 (Topics in Korean Neo-Confucian Thought)3학점

고려말 성리학의 도입과 수용으로부터 조선조말 성리학에 이르기까지 전개된 한국 성리학의 철학적 특성을 그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선별하여 강의한다. 고려사에 나타난 여말의 역학과 선초의 삼경 중심의 초기 성리학, 중기까지의 절의파, 사림파를 거쳐 퇴계 율곡에 이르는 성리학의 발전 전개와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거친 이후의 예학의 등장, 인물성동이론, 유리론에 이르기까지의 성리학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상의 강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아직 미발표된 문집들에 대한 독해 역시 필요할 것이다.

PY762 사단칠정론특강 (Topics in the Theory of Sadan-Chiljung)3학점

조선조 중기 성리학의 정수이자 한국 성리학의 주요 논쟁의 하나인 사단칠정론에 대한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과의 논쟁을 중심으로 하여 그이전과 이후의 성리학자들의 사단칠정에 대한 이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퇴계를 종조로 하는 영남학파와 율곡을 종조로 하는 기호학파와의 이론적 변별성을 드러내고 그들이 자신들의 이론을 통하여 전개하고자 했던 사회적 이념들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외에도 학문적 특성상 퇴계와 율곡의 사단칠정론과 다른 이론을 이루고 있는 인물 역시 연토의 대상이 될 것이다.

PY763 인물성동이론특강 (Topics in Nam-dang's and Yoe-am's Philosophy)3학점

조선중기 율곡을 정점으로 논의된 이기론이 그 이후, 논의가 인성과 물성의 문제로까지 확대되는 과정에 전개된 심성론의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남당 한원진과 외암 이간을 중심으로 한 강동 팔학사 각각의 학자들의 인간 심성에 대한 성리학적 이론에 대해 강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사단칠정론과 함께 한국 철학사에서 나타난 중요한 철학적 논쟁이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에서의 성리학의 그 독자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중국 성리학의 이론을 넘어서는 경지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PY764 한국양명학특강 (Topics in Korean Yang-Ming Philosophy)3학점

조선조 정통사상의 입장에 있는 성리학이 현실적으로 그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보이는 과정에서 학계의 일부 의식 있는 학자들에게서 연구되어져 온 양명학에 대한 이해가 어떠하였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의 양명학은 성리학이 그 시대의 이념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그 사회로부터 소외된 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어져 왔음 또한 사실이다. 그 결과 양명학은 그 당대에 있어서 보다는 조선조 후기에 이르면서 이외의 사상을 추구한 실학자들에 의하여 계승 발전되어진다. 조선 후기사회의 다양한 사상적 이해를 위해서는 양명학의 연구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PY765 한국실학특강 (Topics in Korean Sil-hak Philosophy)3학점

실학이란 조선조 후기 실학을 자칭하는 것으로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심각하게 대두된 현실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입장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철학 사상으로서 그 이전의 성리학적 사유와는 그 맥을 달리한다. 성리학의 이론이 한 시대의 규범과 보수성을 지니고 있다면 실학은 그에 반하여 인간성에 대한 자율적 이해와 다소 진보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실학은 철학적 이론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그 사상적 형성 배경과 이론적 탐구를 그 대표적 인물을 선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PY766 경전해석학 (Confucian Classics Analysis)3학점

동양 고전인 제반 경전의 사적 전개에 따른 각각의 의미를 시대별 문헌을 통해 비교 검토한다.

PY767 중국유불도교섭사 (Histor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3학점

중국 종교의 사상사적 변천과정을 종파별 또는 사상체계별로 분석하면서 종파 상호간 교류양상을 살펴본다. 특히 중국의 대표적 종교인 유교·불교·도교의 특징을 각각 간직하면서도 삼교합일을 이상으로 보았던 시대나 인물 중에서 특정한 경우를 선정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PY768 한국근대사상특강 (Topics in Modem Korean Thought)3학점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전개되고 논의되어야 하는 한국에서의 근대성의 문제라는 시각에서 특정 강의 대상과 인물을 선정하여 강의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구 철학사에서 보여지는 모더니티의 문제를 숙지하여야 할 것이며, 그 철학적 기반 위에 조선조 후기 사회에서 드러나는 근대적 모순점을 지양하여 현 한국사회에서 요구하는 근대적 시민사회를 구성할 수 있는 철학적 토대를 마련한다.

PY769 다산주역연구 (Studies in Dasan's I-Ching)3학점

여말 이후 형성된 한국 유학의 특징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역학에 대하여 지금으로서는 그 철학사적 전통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임을 감안하여 볼 때, 조선조 후기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의 역학은 우리에게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철학적 토양을 제시하고 있다. 역학의 체계 내에서 다산 정약용의 주역에 대한 해석은 자못 독보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원숙한 이해를 위해서는 역학의 의리적 이해와 함께 상수역으로서의 전통 역시 간과될 수 없다. 특히 그런 점에서 다산의 역학은 상수역을 중심으로 하여 새로운 해석을 가능케 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역학을 부흥하였다고 볼수 있다. 이에 그의 저술인 주역 사전과 역학서언을 통하여 규명한다.

PY770 성호철학연구 (Studies in Sungho's Philosophy)3학점

성호 이익은 실학사상에 있어서 성호학파를 이루고 있을 만큼 빼놓을 수 없는 주요한 인물이다. 그의 실학을 형성하고 있는 배경으로서의 철학 이론과 성호의 철학 이론이 후학 실학자들에게 있어서는 과연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당대의 사상적 교류를 이해하여야만이 우리는 조선조 후기의 새로운 철학 사유인 실학사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한 걸음 나아가 그 사상가들이 이루어 놓은 흐름으로서의 실학사상사의 정립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강의는 성호의 철학이론 가운데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그의 저술을 통하여 독해와 함께 후대 실학자들과의 유관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둔다.

PY771 한중성리학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Neo-Confucianism korea and China)3학점

중국에서의 성리학의 형성 과정과 그형성 과정에 참여한 여러 사상가들, 그리고 그들의 철학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성리학에 대한 원만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중국 성리학의 형성 배경을 기저로 하여 한국 성리학자들 간의 이론의 상이점은 중국 성리학자들 이론간의 상이점과 과연 다른 것인가, 아니면 그들의 논의를 반복하고 있는가, 혹은 다른 관점에서 새로운 형이상학적 구도를 지향하고 있는가 등을 살펴본다. 특히 주희 이전의 북송오자에 대한 보다 진솔한 이해를 통해 한국성리학자들의 철학이론을 대비 검토함으로써 한국성리학의 다원적인 전개방향을 확인한다.

PY772 한중실학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Silhak Philosophy in Korea and China)3학점

조선조 후기실학 사상과 청대 실학사상과의 교류와 유관성 등을 사적 자료와 함께 검토한다. 먼저 한국과 중국학자들의 개별적인 선행적으로연구하고, 시대적인 근접성 혹은 사상의 유사성 등을 토대로 그들간의 인접성 동이성 등을 확인한다. 그러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 각자의 사상을 보다 명료히 이해하고 사상의 선후 우열이라는 소극적인 이해를 넘어서 문화와 사상의 전개 역시 자기 생명력을 가지고 운동하고 있다는 인식에 도달한다.

PY773 동양윤리학토의 (Colloquium on Ethics in Oriental Philosophy)3학점

선악 가치의 기원, 본질, 대상, 구조, 수단, 목적, 권리, 의무 등에 관한 여러 문제들을 상호 검토하면서 서양에서의 윤리학과는 어떻게 구별되며, 그 만남의 전망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토의한다.

PY774 동양인이론토의 (Colloquium on Epistemology in Oriental Philosophy)3학점

지식의 기원, 본질, 대상, 구조, 타당성, 한계, 가치, 기능 등에 대한 여러 문제들을 상호 검토하면서, 서양에서의 인식론과는 어떻게 구별되며, 그 만남의 전망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토의한다.

PY775 동양존재론토의 (Colloquium on Ontology in Oriental Philosophy)3학점

동양에서는 인간과 세계와 신을 어떻게 보아왔으며, 그 관계가 어떻게 다루어졌느냐를 분석 검토한다. 아울러 서양에서의 존재론과는 어떻게 구별되어지며, 그 만남의 전망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토의한다.

PY776 동양예술론토의 (Colloquium on Aesthetics in Oriental Philosophy)3학점

예술의 기원, 본질, 원리, 주체와 대상, 미, 기능, 체험, 감상 등에 대한 여러 문제들을 상호 검토한다. 아울러 서양에서의 미학(예술철학)과는 어떻게 구별되며, 그 만남의 전망은 어떠한가를 토의한다.

PY777 동서철학비교토의 (Comparative Colloquium on East-West Philosophy)3학점

전통적인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이론체계 즉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을 중심으로 비교의 장을 마련, 그 특성을 토의한다.



논문 연구

석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0학점
석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0학점
박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Ⅰ)0학점
박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Ⅱ)0학점
박사논문연구Ⅲ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Ⅲ)0학점

TOP